transition
요소의 움직임을 정의 할 수 있다.
transition-property : 트랜지션을 적용시킬 속성을 정한다.
ex) transition-property: background-color; (배경 색 속성을 트랜지션 함)
all : 모든 속성이 트랜지션 효과를 받는다.none : 트랜지션 효과를 주지 않는다.
transition-duration : 변화를 줄 시간을 정한다. 얼마동안 변화를 줄 것인지...!
transition-timing-function : 트랜지션의 진행 속도를 정한다.
transition-delay : 트랜지션의 시작을 연기한다.
transition-initial : 기본값으로 설정한다.
transition-inherit : 부모 요소의 속성값을 상속받는다.
속성을 너무 많이 써야하므로 아래 처럼 축약해서 써줄 수 있다.
timing-function 의 value
ease
기본값. 천천히 시작해서 점점 빨라지고 마지막에는 다시 느려진다.
linear
처음부터 끝까지 일정한 속도로 진행된다.
ease-in
천천히 시작한다.
ease-out
천천히 끝난다.
ease-in-out
천천히 시작해서 천천히 끝난다.
cubic-bezier( n , n , n , n)
사용자가 정의한 cubic-bezier함수에 따라 진행된다.
아래 링크에서 내가 원하는 진행 속도를 만들 수 있다.
cubic-bezier.com
cubic-bezier.com
< 계단 함수값 >
step-start
시작과 동시에 변한다.
step-end
끝나는 시점에서 변한다.
steps( 숫자, [ start or end ] )
지정해준 숫자만큼 단계별로 나누어 변화시킨다.
start로 설정한 경우 각 단계를 시작할 때, end로 설정 한 경우 각 단계가 끝날 때 변화 시킨다.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alignment - 가운데 정렬 하기 (0) | 2022.02.22 |
---|---|
background (0) | 2022.02.22 |
[CSS] transform-origin (0) | 2022.02.21 |
[CSS] transform / translate, scale, rotate, skew (0) | 2022.02.18 |
[CSS] position - sticky / fixed + ( position 정리 ) (0) | 2022.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