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08)
[react_ERROR] Can't resolve 'web-vitals create react-app으로 프로젝트를 생성하는데,  'web-vitals' 모듈이 설치되지 않았다고 에러가 떴다해당 모듈을 설치해주면 해결된다! npm add -d web-vitals
자바스크립트의 this 자바스크립트의 this는 함수가 호출되는 방식에 따라 동적으로 결정된다.  1. 전역컨텍스트에서 this는 전역 객체를 참조한다.2. 메서드에서 this는 해당 객체를 참조한다.3. 화살표 함수는 자체적인 this를 가지지 않고 상위 스코프의 this를 상속받는다.4. call, apply, bind 메서드를 통해 this를 명시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foo 의 this는 objobj.foo()로 호출되었기 때문에 호출 컨텍스트는 obj 이므로 이때의 this는 obj이다. bar의 this는 windowfoo 내부에서 bar()를 호출하였으나, obj와 연결된 메소드가 아니다. 단순히 foo안에서 정의된 내부 함수일 뿐..! 즉 일반 함수로 호출되었기 때문에 호출 컨텍스트는 window가 된다. 일반 ..
React Githup-page로 배포하기 + ( 이미지가 안 뜨는 문제 해결 ) 평소 하던데로, 프로젝트를 깃허브 페이지로 배포하려는데 되질 않고 README 파일이 뜬다.React 프로젝트라서 생긴 문제라고..! React를 깃허브 페이지로 웹호스팅 하고 싶다면 몇가지 과정을 더 추가해 줘야 한다. 1. npm install gh-pages --save-dev 2. package.js에 아래 내용 추가하기3.npm run deploy 이때, “deploy” : gh-pages -d buildnpm run deploy 명령을 수행했을 때 build directory를 배포한다는 뜻이다. “predeploy” : “npm run build”predeploy는 npm run deploy 명령어를 입력했을 때 deploy가 수행되기 전에 npm run build를 한다는 뜻이다. pred..
js / css 파일 수정 후 수정 내역이 반영되지 않을 때 type = "module" 파일이 로컬 상태에서 안돼서 서버로 실행시켰는데,이번엔 js파일이 수정을해도 적용이 되지 않는다... 브라우저가 캐시를 사용하기 때문에 브라우저의 캐쉬에 적재된 js나 css파일 내용으로 처리가 되기 때문이란다!! 새로 변경된 파일임을 브러우저가 인식을 하지 못해서 생기는 문제.... 해결방법은 파일 뒤에 ?ver=[아무숫자] 를 붙여 넣어주면 해결!버전 정보를 파일 명 뒤에 추가함으로써 브라우저가 기존 URL과는 다른 URL임을 인식하게 되어 캐쉬에 있는 파일을 사용하지 않도록 해준다!!
[ERROR] 로컬환경에서의 CORS policy canvas로 이것저것 만들어보려고 로컬 환경에서 실행시켰는데 계속 안되길래,,,,, CORS 에러 라고 한다 CORS는 cross-origin resource sharing으로, 동일한 출처에서만 리소스를 공유함을 의미한다고 한다.동일한 출처( origin )여야 공유할 수 있다는건데, 오류를 보면 origin이 null 값이라구..! 정말 app.js의 origin이 null로 되어있다.!!...! 그 이유는 script의 type 속성을 module로 설정해 둬서 그런 것인데, type을 module로 설정한 script 태그에서는 html 파일을 로컬에서 로드했을 때 자바스크립트 모듈 보안 요구사항으로 인해 CORS오류를 발생시킨다고 한다..!! 해결방법은 이 파일을 서버를 통해 실행시키면 COR..
[SCSS] scss로 코딩하기 1. 확장프로그램 설치하기 vs code 하단에 watch sass 버튼을 눌러서 Watching... 상태일때 scss를 작성하면 저장할때마다 css파일이 실시간으로 만들어진다!  2. settings.json  Flie - Preferences - Settings 에서 Workspace - Live Sass Compiler - Edit in settings.json Edit in settings.json을 누르면 settings.json 이 생성되는데, 아래 코드를 넣어주면 된다..! 파일 경로 잘 볼 것..... css 생성이 계속 안돼서 30분을 고민했는데 src을 빼먹었던것.......ㅎ...scss 파일을 저장하면 css폴더에 css파일이 자동으로 생성된다! 저장할때마다 실시간으로 잘 만들어진..
[GitHub] Github page로 웹 호스팅 Github Page란 github저장소의 내용을 웹페이지로 호스팅 해주는 서비스 라고 한다. github로 호스팅을 해주려면 username.github.io 로 계정당 하나만 할 수있지만, github page를 이용하면여러 프로젝트들을 호스팅 해줄 수 있다고..! 1. 먼저 호스팅할 레포지토리에 들어가 setting으로 이동한다.2. pages에서 None -> main 으로 변경 후  save 하기!3. 그럼 호스팅이 완료되어 위쪽에 링크가 뜬다..!  Actions에 들어가서도 확인할 수 있다!
[GitHub] Repository 이름 변경하기 github.io 블로그를 하나 더 만들려고 했는데 username.github.io로 안해줘서....ㅎ 게다가 이미 블로그가 존재하면 더 만들수 없다구..! 물론 만들수있는 다른 방법이 있다고는 했다!  그래서 repository 이름을 변경해주려고한다ㅎ 1. 먼저 변경하려는 Repository의 Settings에 들어간다. 2.  원하는 이름으로 변경 후 Rename 클릭 3. 변경된 링크를 복사해서 새로운 Remote 주소로 재설정 해준다 git remote set-url origin [ 주소 복붙해주기! ] git remote -v 를 통해 주소가 제대로 적용되었는지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