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ode js

(10)
[node.js] express&vue 로그인 기능 구현하기 (수정중) mrw0119.tistory.com/138?category=938676 [Node.js] Passport 로그인 구현 (express & vue)개발환경: Windows10, VS Code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진행한다. ( express & vue 연동 1 ) ( express & vue 연동 2 ) Backend 작업 1. backend 프로젝트를 열고, 터미널에서 express-session과 passport, passpor..mrw0119.tistory.com사용법을 좀 더 익히고 싶어서 로그인 구현부분도 이 블로그를 보면서 공부했다Server1. npm i express-session passport passport-local먼저 express-session , passport , passpor..
사용자 비밀번호 암호화하기 - bcrypt postman에서 보낸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몽고디비에서 받아보면, 비밀번호가 그대로 노출이 되어서 보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관리자도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알 수 없도록 암호화를 해줘야한다. 이때 사용하는것이 Bcrypt! 먼저 bcrypt를 인스톨해준다. Npm install bcrypt --save 레지스터 라우터로 가기 유저정보들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기 직전이 암호화할 타이밍이다! bcrypt 사이트 보면서 진행 할것 https://www.npmjs.com/package/bcrypt Technique 1 : 먼저 salt를 생성하고 생성한 salt를 이용해서 비번을 암호화 해야한다. 그럼 먼저 salt를 생성해야함! saltRounds는 salt가 몇글자인지 정해주는것. saltRounds를 1..
비밀정보 보호하기 - DB 비밀번호 보호하기 위 사진처럼 DB를 연결하였는데, 이대로 git에 올린다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그대로 노출될 것이다. 파일 하나를 만들어서 그곳에 DB URI를 써주고 가져올 수 있도록 한다. dev.js : 이 파일안에 DB URI를 써주고 local 환경에서 가져올 수 있도록 한다. ( development / 개발모드! ) prod.js : 웹사이트 Heroku 에서 DB URI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한다. ( production / 배포후! ) heroku 사이트에다가 URI를 저장해서 여기서 가져올 수 있도록! heroku에서 관리해준다. 그래서 local환경에서와 production 환경에서 가져올 수 있도록 나누어서 생각 해줘야 한다. key.js는 환경 변수 process.env.NODE_ENV을 이용해 내..
Nodemon 소스를 고칠때마다 서버를 끄고 다시 키고 하는게 귀찮을때 쓰는것! Nodemon은 소스를 변경할 때 그것을 감지해서 자동으로 서버를 재 시작해준다. Npm install nodemon --save-dev save는 내가 이걸 다운받았다고 보여주고 dev는 개발할때만 사용하겠다 는걸 의미한다! install을 했다면 이제 시작할 때 nodemon으로 시작할 수 있도록 Script를 하나 더 만들어 주자 나는 "dev" : "nodemon index.js" 로 해줬다. 각자 자신이 임의로 이름을 만들어 주면 된다~ 그럼 이제 코드를 변경하면 자동으로 서버를 재시작해 줄것이다. 이제 서버를 껐다 켰다 하지 않아도 된다!
bodyParser / postman사용하기 bodyParser Node.js에서 POST 요청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미들 웨어이다. 클라이언트에서 보낸 Body데이터를 분석(Parser)해서 req.body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해준다. bodyParser없이 post request를 보낸다면req.body는 undefined error가 뜬다. req.body는 body-parser를 사용하기 전에는 디폴트 값으로 undefined로 설정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꼭 bodyparser을 사용해주어야한다! npm install body-parser --save 해주고 아래 사진처럼 해준다. app.use(bodyParser.urlencoded({extend: true})); app.use(bodyParser.json()); 이 두가..
ssh를 이용하여 Github에 연결하기 1. git 회원가입 / 로그인 하기 2. Repository 만들기 git에 로그인하면 repository를 생성할 수 가 있다. New 클릭하기. 이제 여기서 https와 ssh 둘중 하나를 선택해서 해당 주소를 복붙하면 된다! 복붙한것은 곧 사용할 예정이므로 대기하기ㅎㅎ 3. Repository에 올리기전, https / ssh 어떤것으로 할지 선택 (여기서는 SSH 선택) 방법은 두가지이다. https방법으로 push하기 와 ssh를 등록하고 push하는 방법! https로 하려면 4번은 건너뛰기! local Repository(우리 컴퓨터)와 github서버의 repository가 통신하려하는데 안전하게 통신하는 방법이 없다... -> 안전하게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것이 SSH!! 먼저 SSH가..
GIT 설치 GIT은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 Git : 소스코드를 관리할 수 있는 툴 Github : 클라우드 서비스! git으로 관리하는 소스들을 github에 올리는 것이다. 1. GIT 설치하기 먼저 내 컴퓨터에 git이 설치되어있는지를 보려면 git --version 을 터미널에 입력해본다. git 버전이 뜬다면 이미 다운받아져 있는것이다. 없다면 git 사이트에 들어가서 다운받을 것! https://git-scm.com/ 2. GIT 저장소 만들기 / git init git 저장소를 만들어 주는 명령어다. 버전 관리를 해줄 프로젝트에 git 저장소를 만들어준다. 3. git의 상태 보기 / git status 아무것도 안한 처음 상태가 working directory이다. 4. git add 여기서 git ..
MongoDB Model과 Schema Model은 Schema를 감싸주는 역할을 하고, Schema는 하나하나의 정보를 지정해 줄 수 있는것을 말한다. 1. Schema를 생성해줄 Models 폴더 생성 2. User.js에 Schema를 만들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