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ode js

GIT 설치

GIT은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

Git : 소스코드를 관리할 수 있는 툴

Github : 클라우드 서비스! git으로 관리하는 소스들을 github에 올리는 것이다.


1. GIT 설치하기

먼저 내 컴퓨터에 git이 설치되어있는지를 보려면 

git --version 

을 터미널에 입력해본다.

git 버전이 뜬다면 이미 다운받아져 있는것이다.

없다면 git 사이트에 들어가서 다운받을 것!

https://git-scm.com/

2. GIT 저장소 만들기 / git init

git 저장소를 만들어 주는 명령어다. 

버전 관리를 해줄 프로젝트에 git 저장소를 만들어준다. 

3. git의 상태 보기 / git status

현재 git의 상태를 보여준다. 아직 커밋하지 않은 상태

아무것도 안한 처음 상태가 working directory이다. 

4. git add

여기서 git add를 해주면  working directory에 있던 코드들이 Staging Area로 이동하게된다. 

 

Staging Area는 git에만 있는 개념이라고 하는데, 

git repository(local)에 올라가기전에 한번 대기시켜주는 곳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git add

git add . 을 해주면 새로만든, 또는 수정된 파일들을 모두 add 해준다.

git add index.js  처럼 한파일씩 지정해서 add 해줄 수 도 있다.

 

add 를 하고 git status를 해서 깃 상태를 보면 수정되었다고 뜬다. 

git ad까지 완료. staging area에 올라온 상태

 

만약 원하지 않는 파일이 add 되었다면

git rm --cached [add취소하고싶은파일이름] -r

이 명령어를 이용해서 add를 취소할 수 있다.

 

node_modules 같이 너무 큰 파일들은 git에 올리지 않는것이 좋다. 

또 node_modules 같은 경우는 걍 npm install 해주면 만들어 주기 때문에 굳이 git에 올릴 필요 없다.

              (협업하는데 이 파일을 git에 올렸다가는 욕먹을지도 모른댜)

그렇다고 매번 한 파일씩 add 하는것은 귀찮기 때문에 이때 쓰는것이 ignore파일이다.

 

.gitignore파일

 

.gitignore 이라는 파일을 만들고 그 안에 node_modules 파일을 넣어주면

git add . 하더라도 이 파일안에 있는것들은 add되지 않는다. 

 

5. git commit -m "메시지를 입력해주세요'

 git commitd을 해주어 Staging Area에 있던 코드들을 git repository(local)로 이동시킨다.

-m "" 으로 메시지를 입력해준다.

git commit
commit후 git status

 commit한 후에 git status를 확인해보면 이제 아무것도 뜨지 않는것을 볼 수 있다.

commit을 해서 Staging area에 있던것이 git repository저장소로 모두 이동했기 때문에 아무것도 뜨지 않는것이다. 

 

 

remote에 올리는건 다음 포스트에서! 

 

 

 

 

'Node 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dyParser / postman사용하기  (0) 2020.08.23
ssh를 이용하여 Github에 연결하기  (0) 2020.08.23
MongoDB Model과 Schema  (0) 2020.08.22
MongoDB 연결하기  (0) 2020.08.22
Node js 와 Express js 다운받기  (0) 2020.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