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git 회원가입 / 로그인 하기
2. Repository 만들기
git에 로그인하면 repository를 생성할 수 가 있다. New 클릭하기.
이제 여기서 https와 ssh 둘중 하나를 선택해서 해당 주소를 복붙하면 된다!
복붙한것은 곧 사용할 예정이므로 대기하기ㅎㅎ
3. Repository에 올리기전, https / ssh 어떤것으로 할지 선택 (여기서는 SSH 선택)
방법은 두가지이다. https방법으로 push하기 와 ssh를 등록하고 push하는 방법!
https로 하려면 4번은 건너뛰기!
local Repository(우리 컴퓨터)와 github서버의 repository가 통신하려하는데 안전하게 통신하는 방법이 없다...
-> 안전하게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것이 SSH!!
먼저 SSH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ls -a ~/.ssh
SSH가 있을 경우, id_rsa 와 id_rsa.pub이라고 출력된다. 이게 뜨지않는다면 SSH가 없는것!
SSH는 SSH 두개의 키를 가지고 있는데 그게 id_rsa와 id_rsa.pub이다.
여기서 id_rsa와 id_rsa.pub가 각각 개인키와 공개키이다!
4. SSH 설정하기 (windows)
4-1. SSH 생성하기
ssh를 생성하기 위한 링크!
Generating a new SSH key and adding it to the ssh-agent - GitHub Docs
Generating a new SSH key and adding it to the ssh-agent After you've checked for existing SSH keys, you can generate a new SSH key to use for authentication, then add it to the ssh-agent. Mac Windows Linux All If you don't already have an SSH key, you must
docs.github.com
$ ssh-keygen -t rsa -b 4096 -C "your_email@example.com"
본인 이메일을 적고 엔터 쭉 누르면 SSH키 생성 완료!
4-2. ssh key를 ssh Agent에 넣어주기
1번. ssh agent에 넣어주기전에, ssh agent를 background에서 켜줘야한다.
agent pid가 나왔다.
2번. ssh private key인 id_rsa를 ssh agent에다 add시켜줘야한다.
3번. 1번과 2번이 끝났으면 이제 public key를 github에 연결 시켜주어야 한다.
Adding a new SSH key to your GitHub account - GitHub Docs
Adding a new SSH key to your GitHub account To configure your GitHub account to use your new (or existing) SSH key, you'll also need to add it to your GitHub account. Mac Windows Linux All Before adding a new SSH key to your GitHub account, you should have
docs.github.com
이 코드를 실행하면 자동으로 우리의 클립보드에 ssh public key가 복사된다.
실행하고 메모장이 같은 곳에 ctrl + v 해주면 나오는게 public key이다.
이제 이걸 github에 넣어주면 된다. git으로 돌아가쟈!!
4-3. ssh key, Github에 연결하기
Title를 적고 아까 복사해둔 Key를 붙여넣기 해준다. 이제 SSH Key 추가해주면 끝!
SSH 설정은 끝났다.
5. 이제 내 코드를 gitbub의 repository에 올리기 / git push
아까 만들어둔 repository로 돌아간다
SSH로 클릭하고 CMD창에 밑의 코드를 입력해주자!
사진에서는 HTTPS로 되어있는데 잘못캡처한거다ㅎㅎ
Https로 하고싶다면 4번의 과정은 패스하고 바로 https로 선택하고 밑에 있는 코드를 입력해주면 된다!
나는 ssh로 실컷 설정 다해놓고 깜빡하고 ssh로 안바꿔주고 해버렸다...ㅎ (https로 해버림 하하하)
저번에 commit까지 다했으니까 마지막 push만 해주면 된다.
만들어둔 repository 연결하고 push해주면 끝이다. 내 repository로 가보면 commit 했던 코드들이 올라왔을 것이다.
push는 처음 할때만 이렇게 해주고, 두번째부터는
git push origin master 이것만 입력해주면 된다.
'Node 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mon (0) | 2020.08.24 |
---|---|
bodyParser / postman사용하기 (0) | 2020.08.23 |
GIT 설치 (0) | 2020.08.22 |
MongoDB Model과 Schema (0) | 2020.08.22 |
MongoDB 연결하기 (0) | 2020.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