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08) 썸네일형 리스트형 [ WEB ] 브라우저 작동 원리 1. 브라우저의 기본 구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청한 페이지를 보여주는 창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부분들 ( 앞으로 가기, 뒤로가기, 즐겨찾기 등과 같은 사용자가 브라우저에서 직접 조작할 수 있는 영역! ) 브라우저 엔진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렌더링 엔진 사이의 동작을 제어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렌더링 엔진에 쿼리를 전달 할 수 있도록 조작하는일을 한다. 렌더링 엔진 HTML과 CSS문서를 파싱 및 해석하여 화면에 표시해준다. 통신 HTTP 요청과 같은 네트워크 호출에 사용된다. 자바스크립트 해석기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해석하고 실행한다. UI 백엔드 기본적인 위젯을 그리는 인터페이스 자료저장소 cookie나 local storage등 모든 자료를 저장하는 영역이다. 브라우저는 서버로 부터 html문서를 다.. [Git] .gitignore 사용하기 github에 프로젝트를 업로드할때 올리고 싶지않은 파일이나 폴더가 있는데, 이것들을 제외하고 하나하나 git add 하기에는 너무 번거롭다. 이런경우 사용하는 파일이 .gitignore이다. git init을 한 프로젝트의 제일 상단에 .gitignore파일을 만들어준다. .gitignore폴더에 제외하고 싶은 파일 또는 폴더를 넣어준다. 이때 보안상으로 깃에 올리면 안된다던가 용량이 커서 무거운 파일들을 넣어주는것이 좋다! 이렇게 넣어주기만 하면 이 파일들은 깃에 올라가지 않는다. 1. 특정 파일 제외하기 fileName.js 2. 현재 경로에 있는 fileName.js만 제외하기 ( 다른 경로의 file.js는 제외X ) /fileName.js 3. 특정 폴더 node_module 안의 파일 전부 .. [GIT 에러] Permission to ~ denied 에러 ( 2트 ) - 해결 두번째 시도^^ PC내의 사용자 정보 변경하기 ssh키 생성안해도 되는 아주아주 쉬운방법....ㅎ 제어판 > 사용자 계정 > 자격 증명 관리자에 들어간다. windows 자격 증명 관리에 들어가면 github가 있는데 편집을 누르고 사용하려는 깃허브 계정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바꾸어주면 된다. 그리고 바로 git push -u origin master를 해주면 깃아이디랑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창이 뜨는데 로그인을 하면 너무나도 쉽게 git push가 된다...... ssh는 설정을 또 해줄 필요가 없는것인가....ㅎㅎ^^ 아무튼 드디어 성공! [GIT 에러] Permission to ~ denied 에러 ( 1트 ) git push를 하려는데 오류가 떴다. git 계정을 여러개 사용할때 충돌하는 경우 발생하는 에러란다. ssh설정을 다시 해줘야 하는듯하다! 1. 키 생성하기 ss-keygen -t rsa -b 4096 -C "이메일 주소@입력하기" 나는 깃허브 주소를 넣어주었다. 이 부분에서 경로를 입력해주는데 그냥 엔터만 눌러도 된다. 나는 ssh가 이미 있어서 파일명 바꿔준다고 써주었다. 2. 키 추가하기 걍 $eval $(ssh-agent) 해주면 바로 해결된다. [ 해결 ] min-coding.tistory.com/66 키가 잘 추가됐음을 확인! $ ssh-add -l : 추가된 키를 확인 $ ssh-add -K ~/.ssh/id_rsa : 해당 키를 추가 3. github에 ssh 키 추가하기 $ clip .. [SSH 에러 / ssh-add시 에러] Could not open a connection to your authentication agent. ssh-agent를 설정해주면 바로 해결된다! $eval $(ssh-agent) ssh-agent를 설정하고 ssh-ass해주면 된다. ssh-ass -l 명령어로 키가 잘 추가되었는지 확인! [ Git ] git remote / git push git remote git remote add origin " 깃허브에서 복사해온 주소 " git push git push -u origin master [ERROR] sass / path must be a string..... 버전문제라고 한다 node-sass는 4 sass-loader은 7버전으로 다시 install해주었더니 잘 작동한다! npm i -d node-sass@^4 sass-loader@^7 [ERROR] scss-loader로 인해 TypeError: this.getOptions is not a function at Object.loader vue 2.6에서 sass-loader 11버전을 사용하면 호환되지 않아서 발생한다고 한다..! 그래서 10버전의 sass-loader를 받아주면 된다. npm i --save sass-loader@10 해주기! vue error 해결법: Syntax Error: TypeError: this.getOptions is not a function vue 에서 scss 와 같은 css 형식을 사용하기 위해 sass-loader 를 설치한 뒤에 아래와 같은 오류가 나는 경우가 있다. Syntax Error: TypeError: this.getOptions is not a function 위와 같은 에러는 vue 2.6 버.. wotres.tistory.com 이전 1 ··· 4 5 6 7 8 9 10 ··· 14 다음